지난 7월 개정된 세법개정안중에서 증여세 면제 한도액 변경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란?
증여세는 재산을 무상으로 다른 사람에게 양도할 때 발생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이에 무상으로 증여를 받은 개인이나 비영리법인은 그 재산에 대한 세금을 신고하고 납부하여야 합니다.
이 증여세에는 세금을 공제 받을 수 있는 면제 금액이 있으며, 증여자와의 관계와 증여 시점에 따라 면제 한도액이 정해져있습니다.
✅ 배우자 증여세 면제 한도액 : 6억
✅ 직계존속(자녀, 계부. 계모 포함) 증여세 면제 한도액 : 5천만 원 (미성년자 2천만 원)
✅ 직계비속 증여세 면제 한도액 : 5천만 원
✅ 기타 친족 증여세 면제 한도액 : 1천만 원
변경된 증여세 면제 한도
이 중에서 변경된 내용은 자녀에게 증여할 때 면제 한도액이 추가된 사항이 있습니다.
기본적인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액은 기존과 동일한 5천만 원인데, 자녀의 혼인을 위해 증여할 겨우 면제 한도액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증여세 면제 한도액 추가(혼인자금) : 1억 원
✅ 혼인 자녀의 증여세 면제 총 한도액 : 1억 5천만 원
✅ 혼인자금 공제 기간 : 총 4년 (혼인신고일 전후로 각 2년 이내)
✅ 증여세 면제한도 변경 적용일자 : 2024년 1월 1일부터
증여세 계산방법
증여세 면제 금액을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는 세금을 내야 하는데, 증여세율은 증여 재산의 규모에 따라 달라집니다.
세율은 최저 10%부터 최고 50%까지의 5단계 누진세율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세금 계산은 많이 어려운데요, 홈택스의 세금모의계산을 활용하면 보다 쉽게 증여세를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홈택스를 활용해 증여세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1. 홈택스에 접속하여 [세금종류별 서비스]의 [세금모의계산]을 클릭합니다.
2. 세금모의계산 메뉴의 증여세 자동계산을 클릭합니다.
3. 증여세 간편계산 및 자동계산으로 진행합니다.
4. 증여일자 및 증여자와의 관계, 재산가액을 입력하면 증여세가 계산됩니다.
증여세율 계산 (증여세율표)
증여세와 증여세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증여세란 증여세는 재산을 무상으로 다른 사람에게 양도할 때 발생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이에 무상으로 증여를 받은 개인이나 비영리법인은 그 재
newnewstory.tistory.com
2023년 상속세율 (상속세율표)
상속세란 사람의 사망으로 그 재산이 가족이나 친족 등에게 무상으로 이전되는 경우에 부과되는 세금을 의미합니다. 실종 신고나 인정 사망(관공서의 보고에 의하여 사망한 것)의 경우에도 상
newnewstory.tistory.com
상속포기절차 (상속포기서류)
상속은 항상 긍정적인 것만은 아닙니다. 상속 시 피상속인(고인)의 재산뿐만 아니라 빚도 상속되기 때문에, 상속재산 중 빚이 많을 경우 상속인들은 상속포기 또는 한정승인 절차를 이용하여 빚
newnewstor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