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세와 증여세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증여세란
증여세는 재산을 무상으로 다른 사람에게 양도할 때 발생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이에 무상으로 증여를 받은 개인이나 비영리법인은 그 재산에 대한 세금을 신고하고 납부하여야 합니다.
(영리법인인 경우에는 부과되지 않습니다)
증여세는 세액 계산 흐름상 증여세율과 증여공제 대상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증여세율과 증여공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증여세율
증여세율은 증여 재산의 규모에 따라 달라집니다.
세율은 최저 10%부터 최고 50%까지의 5단계 누진세율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렇기 때문에 과세표준별 세율과 누진공제액은 증여세율을 계산할 때 중요한 요소입니다.
아래는 과세표준별 세율과 누진공제액 예시입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액
증여세 면제 한도액은 증여공제 대상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배우자는 최대 6억 원, 직계존속과 직계비속은 최대 5천만 원까지 증여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해당 금액은 10년간의 누계 금액입니다.
증여세 계산에 중요한 세율과 면제 한도액을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세금 계산은 많이 어려운데요, 홈택스의 세금모의계산을 활용하면 보다 쉽게 증여세를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홈택스를 활용해 증여세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홈택스를 활용해 증여세 계산해 보기
1. 홈택스에 접속하여 [세금종류별 서비스]의 [세금모의계산]을 클릭합니다.
홈택스 > 세금모의계산
2. 세금모의계산 메뉴의 증여세 자동계산을 클릭합니다.
세금모의계산 > 증여세 자동계산
3. 증여세 간편계산 및 자동계산으로 진행합니다.
4. 증여일자 및 증여자와의 관계, 재산가액을 입력하면 증여세가 계산됩니다.
2023년 상속세율 (상속세율표)
상속세란 사람의 사망으로 그 재산이 가족이나 친족 등에게 무상으로 이전되는 경우에 부과되는 세금을 의미합니다. 실종 신고나 인정 사망(관공서의 보고에 의하여 사망한 것)의 경우에도 상
newnewstory.tistory.com
퇴직금 수령방법 ( irp 계좌란)
퇴직금은 사회 초년생일 때도 연차가 쌓이는 동안에도 가끔씩 계산해 보곤 합니다. 직장인에게는 아주 중요한 부분인데요, 최근에는 퇴직금 수령 방법도 변경되었습니다. 오늘은 이 변경된 퇴
newnewstory.tistory.com
2023년 최저임금 월급 실수령액
2023년 최저임금은 9,620원입니다. 최저임금이 변경되면서 월급은 어느 정도로 변화할지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최저임금 2023년 최저임금은 9,620원이며, 이는 2022년도 최저임금인 9,160원대비 5% 인
newnewstor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