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65세 폐렴 무료 접종

뉴뉴스토리 2023. 10. 15.
반응형

정부는 만 65세 어르신의 폐렴구균 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무료 예방접종 사업을 연중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해서 기침하시는 분들이 주변에 많이 보이는데요, 오늘은 폐렴구균 예방접종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만 65세는?

 

 

 


2023년 만65세는 1958년생입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 지원 

 

 

 

65세 이상 어르신에서 폐렴구균으로 인한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 발생빈도가 높으며, 폐렴구균에 의한 균혈증이 발생할 경우 사망률은 60%, 수막염일 경우 사망률은 무려 80%에 이릅니다. 

 

 

또한, 202년 우리나라 사망 원인 중에 폐렴이 3위라고 합니다. 

 

출처 정책브리핑

 

폐렴의 예방법은 백신을 접종하는것입니다. 

 

이에 정부에서는 65세 이상 어르신의 폐렴구균 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가까운 지정의료기관에서 비용 부담 없이 폐렴구균 23가 다당 백신 (PPSV23) 접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폐렴 백신 예방접종 방법 

 



1. 대상

 

만 65세 이상 어르신 (1958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2. 접종 기간

 

연중 아무때

 3. 접종 백신 

 폐렴구균 23가 다당 백신(PPSV23), 1회 접종 지원

 4. 접종 기관 
 
보건소 및 지정의료기관에서 예방접종이 가능합니다. 
 

(1) 지정의료기관찾기 > 시도구군동을 선택해서 검색합니다. 


(2) 예를 들어 서울시 > 강북구 > 수유동을 검색하면 하단에 병원명, 전화번호, 주소, 백신잔량이 뜹니다. 
백신잔량을 누르면 잔여백신수가 나오니 집에서 가까운곳으로 방문하시면 되겠습니다. 


 

예방접종 전후 주의사항 확인 



- 건강 상태가 좋은 날에 예방접종이 가능한지, 접종기관에 사전 확인 후 방문

- 기저질환이 있는 어르신은 백신선택 및 접종시기 등에 대해 주치의와 먼저 상담하기 

- 접종 후, 바로 나오지 마시고 20~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면서 이상한 반응이 있는지 관찰한 후 귀가

- 접종부위는 청결하게 유지할 것 

- 접종 당일은 반나절 이상 충분히 쉬고, 음주나 지나친 운동 금지 

- 접종 후 2~3일간은 고열 등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반드시 의사 진료받기 

 



무료접종 대상이 되시는 분들은 가까운 곳의 지정의료기관을 찾으셔서 접종 혜택 받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